안녕하세요. 경제 정보를 전하는 귀큰남입니다!
서울은 집값과 월세 부담이 전국 최고 수준인데요.
그래서 서울시에서는 다양한 주거비·월세 지원 정책을 통해
청년, 신혼부부, 저소득층을 돕고 있습니다.
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
서울 거주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주거비 지원 제도를
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!
1. 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
청년 1인 가구를 대상으로 매달 월세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- 지원 대상: 만 19세~39세, 서울 거주 청년
- 소득 기준: 기준 중위소득 150% 이하 (1인 기준 월 약 316만 원)
- 지원 금액:
➔ 월 최대 20만 원 지원 - 지원 기간:
➔ 최대 12개월
신청 방법
서울청년포털을 통해 온라인 접수 후, 심사를 거쳐 선정됩니다.
주의사항
- 본인 명의 임대차 계약서 필수
- 보증금 5천만 원 이하, 월세 70만 원 이하 주택 거주자만 가능
✅ 월세 부담이 크다면, 꼭 신청해야 하는 필수 제도입니다!
2. 서울시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지원
결혼을 준비하거나, 막 결혼한 신혼부부를 위한 대출 지원입니다.
- 지원 대상:
➔ 혼인신고 7년 이내 신혼부부
➔ 또는 예비 신혼부부 (혼인 예정자) - 소득 기준:
➔ 부부 합산 소득 1억 원 이하 - 지원 내용:
➔ 전세보증금 일부를 서울시가 최대 2억 원까지 무이자 지원
➔ 혹은 최대 1% 저리 대출 - 대상 주택:
➔ 전용면적 85㎡ 이하, 보증금 4억 원 이하
신청 방법
서울주거포털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신청이 가능합니다.
💡 결혼 준비로 전세 자금이 부담될 때
정말 도움이 되는 혜택이에요!
3. 서울시 청년 전·월세 보증금 지원
전세, 월세 보증금을 마련하기 어려운 청년을 위한 제도입니다.
- 지원 대상: 만 19세~39세 서울 거주 청년
- 소득 기준: 중위소득 150% 이하
- 지원 내용:
➔ 전세 또는 월세 보증금의 일부를
➔ 최대 7천만 원까지 서울시가 무이자 대출 - 이자:
➔ 무이자 (0%)
신청 조건
- 본인 명의 임대차 계약 필수
- 전·월세 보증금 2억 원 이하
✅ 전세 보증금이 모자라서 고민 중이라면
이 제도 적극 활용하세요!
4. 주거급여(국토부 지원)
서울시 정책은 아니지만,
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 저소득 가구는
국토교통부에서 지원하는 주거급여도 받을 수 있어요.
- 지원 대상: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 50% 이하 가구
- 지원 내용:
➔ 월 임대료 지원 (지역별 기준금액 상한 있음)
➔ 주택 수선 지원 (자가 보유 시) - 서울시 기준 월 최대 지원 금액(1인 가구): 약 32만 원
신청 방법
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(www.bokjiro.go.kr)에서 신청.
💡 주거급여는 나이 제한이 없고, 1인 가구도 신청 가능해요.
5. 서울형 긴급복지 주거비 지원
갑작스런 위기로 주거가 불안해진 경우,
서울시가 긴급하게 주거비를 지원합니다.
- 지원 대상: 실직, 질병, 사고 등으로 소득 상실한 위기가구
- 소득 기준: 기준 중위소득 85% 이하
- 지원 내용:
➔ 임대료 체납 시 최대 300만 원 지원
➔ 전·월세 계약 연장비용 일부 지원
신청 방법
관할 구청 복지부서에 방문 신청 후 심사.
✅ 갑자기 어려워진 상황이라면
망설이지 말고 도움을 요청하세요.
6. 서울시 리모델링 임대주택 사업
새로 집을 사거나 이사 가지 않고,
현재 살고 있는 주택을 리모델링하여
보다 저렴한 임대주택으로 거주할 수 있게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- 지원 대상: 소득과 자산 기준을 충족하는 무주택 가구
- 지원 내용:
➔ 노후주택 리모델링 비용 지원
➔ 저렴한 임대료로 6년 이상 거주 가능
특징
- 주택 소유주는 서울시와 임대차 계약 체결
- 입주자는 리모델링된 깨끗한 집에 거주 가능
💡 "집을 새로 사긴 어렵지만, 살던 집을 좋게 고치고 싶다!"
하는 분들에게 알맞은 정책입니다.
7. 마무리
지금까지 소개한
"서울 거주자 필수! 주거비·월세 지원 정책 모음"
잘 보셨나요?
서울은 높은 집값과 월세 때문에 힘든 경우가 많지만,
이런 다양한 정책을 잘 활용하면
월세 부담을 확 줄이고, 안정적인 주거생활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.
요약 정리!
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 | 월 최대 20만 원, 12개월 지원 |
서울시 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지원 | 최대 2억 원 무이자 또는 1% 대출 |
서울시 청년 전·월세 보증금 지원 | 최대 7천만 원 무이자 대출 |
주거급여 | 월 임대료 지원 (최대 32만 원) |
서울형 긴급복지 주거비 지원 | 임대료 체납 지원 최대 300만 원 |
서울시 리모델링 임대주택 사업 | 노후주택 리모델링 지원 |
✅ 꼭 내 상황에 맞는 지원 정책을 찾아 신청하세요!
조금의 수고만 들이면, 생활이 정말 많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
지금까지
"서울 거주자 필수! 주거비·월세 지원 정책 모음"
정리해드린 재테크탐험가이었습니다.
좋아요❤️ 댓글📝 공유🔄
항상 큰 힘이 됩니다!